2025.09.26 (금)

경기도청

경기도 "AI 돌봄으로 돌봄교사·가족 부담 덜어" 발달장애인 지원 중간보고회 개최

도전행동 감소, 보호자 만족도 향상 등 실질적 효과 확인

 

[ 포에버뉴스 김경순 기자 ] 경기도는 26일 ‘2025년 발달장애인 AI 돌봄 서비스 중간보고회’를 열고, 도입기관의 운영 성과와 현장 사례를 공유했다.

 

‘발달장애인 AI 돌봄 서비스’는 CCTV와 인공지능 행동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공격, 물건 파괴 등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중재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처음 안산·의왕 3개소에서 시범 운영됐으며, 올해는 의정부와 남양주시까지 5개 기관으로 확대됐다.

 

보고회에서는 기술 개발사인 SK텔레콤이 사업 추진 현황과 성능 개선 계획을 발표했고, 한국ABA행동발달연구소와 안산·의정부·남양주시 장애인복지관이 현장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한국ABA행동발달연구소는 AI 행동중재 컨설팅 중간 결과, 대상자의 공격·파괴 행동이 정도 10에서 2로 80%, 자해 행동은 주 10회에서 3회로 70% 줄어들고, 부정적 관심이 아닌 눈 맞춤, 부드러운 말투 등 긍정적 대체 행동이 늘어난 사례를 발표했다. 특히 행동 데이터 기반 전문가 컨설팅이 도전행동의 원인 분석과 중재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는 평가다.

 

또한 AI 영상 분석을 통해 도전행동의 전조 증상과 행동의 원인·결과를 파악할 수 있어, 돌발 상황 대응이 어려운 발달장애인 돌봄 환경개선과 지원 방안 설계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현장의 의견이다.

 

이 밖에도 발달장애인 보호자들은 자녀 행동 변화에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시설 종사자들은 인수인계와 대응 훈련에 실질적 도움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중간보고회에서 논의된 개선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12월 돌봄교사와 보호자 대상 만족도 조사를 통해 AI 돌봄의 효과성을 분석할 계획이다.

 

이어진빛 경기도 AI프런티어정책과장은 “AI 돌봄 서비스는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돌봄교사의 업무 효율화와 가족의 부담 완화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 모델을 현장 중심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더보기

섹션별 BES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