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에버뉴스 오명숙 기자 ] 광주광역시의회 박미정·채은지 의원은 5일 시의회 예결위회의실에서 ‘청년 상생형 일자리 확대 지속을 위한 토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와 공동 주최로, 청년 상생형 일자리 확대와 광주형일자리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광주는 지난 5월 인구가 21년 만에 130만 명대로 감소했다.
청년층 유출이 전국 최고 수준이며, 일자리 부족과 정주 여건 악화로 ‘탈광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정준현 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장은 ‘새 정부노동개혁과 광주형일자리 버전2를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로 첫 발제를 맡았다.
정 지부장은 “광주형일자리 버전2는 노동 3권 존중과 노사 상생을 바탕으로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연간 15만 대 이상 생산 캐파 확충으로 지속가능한 완성차 공장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다정 광주청년유니온 위원장은 ‘광주형일자리 10년, 적정사회를 위한 제안’이라는 주제로 두 번째 발제를 했다.
김 위원장은 “광주형일자리는 적정임금과 노동조건이 지켜지지 않아 한계가 있다” 며 “성공적인 모델이 되려면 사회적 대화, 노사책임경영, 성평등, 녹색전환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오주섭 광주경실련 사무처장, 김승원 금속노조 광주글로벌모터스지회 교육선전부장 등이 참여해 청년 상생형일자리의 지속 가능성과 광주형일자리의 개선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채은지 의원은 “광주형일자리는 상징적 정책을 넘어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임금 · 노동조건 개선과 산업 다양화가 필요하다” 며 “청년이 머물 수 있는 광주를 위해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좌장을 맡은 박미정 의원은 “이번 토론회는 청년 일자리 정책을 점검하고 광주형일자리의 방향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며 “논의된 내용이 정책에 반영되도록 시의회도 관심을 갖고 살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