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에버뉴스 김경순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서울~양평고속도로 현장을 전격 방문해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해 권력을 도구로 사익을 채우고 국민의 혈세와 국정을 농단한 중대한 범죄행위”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계정을 통해 “서울-양평고속도로 원안의 종점지점인 양평 양서면에 다시 왔다”며“경기도는 특검에 자료를 임의제출해서라도 진상규명에 선제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과거 ‘선거는 패밀리 비즈니스’라 했다. 그것이 바로 이 사건의 본질”이라면서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특히 “3년의 허송세월, 피해는 고스란히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에게 돌아갔다. 특검은 누가, 왜, 어떻게 이런 일을 저질렀는지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면서 강도 높게 지적했다.
김 지사는 이어 “경기도는 특검에 적극 협조하면서, 여태까지 통과한 원안을 조속히 재추진하기 위해 새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이제는 더 이상 늦출 수는 없다. 원안대로 신속히 추진하는 것만이 답”이라고 꼬집어 말했다.
알려진대로 해당사업의 원안은 서울시 송파구 오금동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의 27.0km구간(4~6차로)이다.
그러나 예비타당성조사까지 마친 해당노선이 정권 출범 직후 돌연 변경(2022년 5월 변경안 최초 등장)됐다. 종점이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바뀌면서 국민혈세인 사업비도 1000억원 가량(원안 1조 7,694억원, 변경안 1조 8,661억원) 늘어났다.
강상면에는 김건희 일가의 토지가 있었기 때문에 자연히 윤석열 당시 대통령 처가의 땅값 상승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져갔다.
한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사업 자체를 ‘백지화’시켜버렸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 국민의 몫이었다. 무책임함을 넘어 무지막지한 결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