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에버뉴스 김경순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8일 오후 서울~양평 고속도로 원안 종점에 해당하는 양평군 양서면 청계리를 찾아 해당 사업에 대한 특혜 의혹을 조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김건희 특검)에 적극적인 협조 의지를 드러냈다.
김 지사는 이날 2년 만에 다시 서울~양평 고속도로 현장을 찾아 “윤석열은 과거 ‘선거는 패밀리 비즈니스’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며 “이와 같이 김건희 일가의 여러 탐욕을 위해 권력을 탐욕의 도구로 활용한 정황이 너무 명백하기 때문에 이번 특검을 통해서 도대체 누가, 왜, 어떻게 이와 같은 일들을 만들어 3년을 허송세월하고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에 피해를 줬는지 밝혀내야 한다”며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청에 특검에 적극적인 협조를 지시했고, 필요하다면 자료 임의 제출까지 해서라도 명명백백하게 진상을 밝히도록 협조”하라고 지시했다.
서울 송파구 오금동에서부터 경기 양평군 양서면까지 27km를 잇는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까지 마친 2022년 5월 종점이 기존 양서면이 아닌 강상면으로 바뀌는 변경안이 등장했다. 사업비는 기존 1조7694억원에서 1조8661억원으로 1000억원 증가했고, 전체 노선의 55%가 바뀌었다.

이어 2023년 5월 전략환경영향평가 결정 내용이 공개되면서 변경안에 대한 특혜 의혹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변경안 상 종점인 강상면에는 김건희 여사 일가의 토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원희룡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 같은 의혹에 사업 백지화를 선언하며 사태는 점입가경으로 치달았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현재 착공에 들어갔을 이 사업은 현재도 진행이 중단된 상태다.
김 지사는 특혜 의혹이 불거진 2023년 7월과 8월 두 차례 기자회견을 열고 원안대로 사업 추진과 ‘왜, 누가, 어떻게 변경했는지’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지난 3월에는 윤석열 정부의 공식 사과와 원안 추진, 해당 의혹에 대한‘(국토교통부의 자체)감사가 아닌 수사’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김 지사는 이번 사건과 관련한 특검의 출국금지 조치에 ‘명백한 야당 탄압’이라고 주장한 김선교 국민의힘 의원(여주·양평)에 대해서도 “어불성설”이라며 “이것은 야당에 대한 탄압이 아니라, 그동안 김건희 일가가 우리 양평군민과 경기도민을 탄압한 것”이라고 성토했다.

이어 “원희룡 전 장관과 이곳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국회의원, 여기에 관련된 양평군 일부 고위 공무원들 모두 고해성사를 해야 한다. 그런 주요 혐의자들을 출국 금지시킨 것은 대단히 타당했던 조치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는 새 정부와 함께, 국정기획위원회라던지 또는 관련 부처와 협의해서 당초 안대로 빠른 시간 내에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