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에버뉴스 김경순 기자 ] 영등포문화재단이 ‘밤섬 생태문화 프로젝트’ 기획전시 ‘한강 밤섬 / 관계의 지도’의 오프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최호권 영등포구청장을 비롯해 참여 예술가, 밤섬 부군당 보존회 주민, 지역 활동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전시는 오는 11월 25일까지 13일간 진행되며, 섬 폭파·실향·복원의 역사를 가진 밤섬을 예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도시와 자연의 관계를 다시 묻는 전시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이번 전시에는 마포공동체라디오의 아카이빙존, 서울대 환경대학원과의 연계 전시존, 그리고 공모와 초청을 통해 11명(팀)의 예술가가 참여했다.
밤섬은 과거 ‘율주(栗洲)’라 불리며 사람이 살던 섬이었다. 그러나 1968년 여의도 개발을 위해 폭파돼 62가구 443명이 하루아침에 실향민이 됐다. 인간 출입이 사라진 뒤 생태계가 스스로 회복됐고, 2012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며 서울 도심 속 생태 보존 핵심지로 자리 잡았다.
이번 전시는 이 같은 역설적 역사, 즉 파괴된 섬이 다시 생명을 품게 된 과정을 예술가들의 작업과 기록을 통해 살펴보며, 관람객에게 ‘우리는 이 섬과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를 질문한다.
문화도시 영등포는 특성화 사업으로 ‘도시수변문화 사업’을 꾸준히 이어왔다. 올해부터는 한강 한가운데 위치한 밤섬을 거점으로 생태적 가치와 역사성을 되살리고, 도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행사에 참석한 최호권 영등포구청장은 “예술가들의 다양한 시선으로 마주하는 밤섬의 역사와 기록을 살펴보고, 밤섬에 살던 주민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라며 “이번 활동을 계기로 지역 주민과 행정, 전문가가 힘을 합쳐 밤섬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지속 가능한 보존 체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건왕 영등포문화재단 대표이사 역시 “이번 전시는 사라진 섬의 기억을 되살리고, 자연이 스스로 회복한 시간을 예술의 언어로 드러낸 시도”라며 “밤섬을 단순한 경관이 아니라 ‘관계 맺어야 할 생태적 이웃’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수변 문화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