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에버뉴스 사공선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전주권을 아우르는 광역교통망 청사진을 구체화하며, 지역 교통혁신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고 있다.
도는 지난 3일 전주권 광역교통시행계획(안)을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에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총사업비는 2조 1,916억 원으로, 이 중 1조 772억 원은 국비로 계획돼 있다.
이번 사업계획에는 전주시를 중심으로 완주, 김제, 익산, 군산을 잇는 광역도로와 광역철도 등 15개 핵심 사업이 포함됐다. 계획이 확정되면 교통 정체 해소와 통행속도 향상은 물론, 광역생활권 구축 등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교통 편의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사업은 △전주 중심의 방사형 광역도로 10개 노선(신설 5개, 확장 5개) △전주~새만금을 잇는 동서축 광역철도 1개 노선(정차역 9곳) △버스‧화물 공영차고지 2곳 △환승센터 2곳 건설 등으로 전주권 광역교통 인프라 전반의 혁신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역도로 사업은 10개 노선, 총연장 69km 규모로, 전주 외곽과 인근 시군을 연결하는 간선도로를 4~6차로로 신설‧확장해 지역 연결성을 높이고, 교통 혼잡을 완화할 전망된다.
광역철도는 전주역을 출발해 새만금 수변도시까지 76km를 운행하며, 동산‧삼례‧동익산‧익산‧남군산‧새만금공항역 등 9개 주요 거점을 연결한다. 이를 통해 동서 간 연계성과 새만금 접근성을 강화하고, 지역 간 이동 효율성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버스‧화물차 공영차고지 2곳을 조성해 대중교통과 물류 운송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KTX익산역과 광역철도 남군산역에 구축될 환승센터는 철도‧버스‧택시‧승용차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교통 허브로서 환승 시간을 단축하고 이용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이번 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 4월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 이후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관련 시군과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전주권 광역교통 협의체를 운영해 주민 요구와 정책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사업계획을 마련했다.
아울러, 계획 수립을 주관하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한국교통연구원과 간담회 및 실무 회의를 이어가며 국가계획 반영 논리도 한층 보강해왔다.
이번 계획은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삶을 잇고 기회를 여는 전주권"이라는 비전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형 광역 네트워크 완성 △산업‧도시 성장축 형성 △지속가능한 교통 혁신을 통한 편리한 광역생활권 조성을 동시에 추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앞으로 국토교통부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 협의와 공청회를 거쳐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를 통해 내년 상반기 중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을 최종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김형우 전북특별자치도 건설교통국장은 "전주권 광역교통망 구축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국가계획 반영과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행정 역량을 총동원해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균형발전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