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소나타20>-독산과 양산봉

  • 등록 2025.08.22 10:48:29
크게보기

독산성 둘레

 

독산성 둘레
시인/영화감독 우호태

호새: 조선 선비들은 유람길마다 시 한 수를 남겼다지요. 이곳이 사방이 트여 시 한 수 어떠세요?
돈키: 그래, 곳곳에 기행시와 서체, 무용담이 전해오지. 그게 다 인생길의 멋 아니겠느냐.

<독산성에서>

한걸음 두걸음 머언 발길들
불어라 들바람 고개 너머로
금암리 선인들 머문 쉼터에
천년의 고인돌 고요 하구나

진달래 개나리 고운 몸단장
독산성 둘레길 노을이 지면
솔숲에 울리는 말울음 소리
그 이름 부르니 세마대로세

꽃뫼에 서린 애끊는 사부곡
화산뜰 감도는 황구지 물길
오신 곳 어느 뫼 어데로 가나
노을속 홀로 걷는 나그네여

달뜨는 밤이면 고향 가려나
눈감아 달려도 마음이 앞서
꿈엔들 잊으리오 내 고향 땅
죽미령 눈물꽃 젊은 넋이여

사방에 뻗어난 너른 큰길에
뜻세워 글읽는 배움터 불빛
어제를 돋우어 내일을 여니
온세상 밝혀 갈 등불이로세

—--졸저<한반도소나타>에서

호새: 돈키님, 이쯤이면 김삿갓 선생 못지않은 예인 아니겠소?
돈키: 글쎄, 주변 환경을 알면 누구나 한생각 들어설게야. 어찌 세상사가 제 뜻대로만 되더냐. “황하지수천상래…. 조여청사모성설…”을 인생을 노래한 청련거사 이백이나 방랑 시인 난고 김병연이 다 그런 게야.

호새: “스쳐 가는 청춘, 훌쩍 가버린 세월 백년도 힘든 것을 천년을 살 것처럼” 나훈아 선생 노래도 참 맛나더이다.
돈키: 임마, 얼마나 살았다고, 그러니 두 눈뜨고 살아야지.
 

김경순 기자 forevernews7@naver.com
Copyright @2020 포에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로 432, 2층 202호(평동)| 대표전화 : 010-2023-1676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경순 등록번호 : 경기, 아 52599 | 등록일 : 2020.07.09 | 발행인 : 김경순 | 편집인 : 홍순권 포에버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2020 포에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forevernews7@naver.com